다리길이의 불일치가 생길경우 척추의 만곡으로 보상작용이 진행된다. 사람은 지구의 중력 때문에 땅위에서 평형중추에 의해 두 다리로 기립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척추의 생리적인 만곡도(커브)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척추가 생리적인 커브를 유지하게 되면 척추사이에서 빠져나와 각기 내부장기에 분포하고 있는 중추신경들이 제대로의 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게 되어서 이들 신경이 지배하게 되는 내장기능은 고도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게 만드는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역학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역학적 장애인 견비통, 두통, 요통, 신경통, 기타 질병 등은 없으며 중력에 대한 척추의 생리적인 커브는 서있을 때 최소한의 칼로리로 유지되므로 (척추의 생리적인 커브가 비정상이면 칼로리 소모량이 크기 때문에 쉽게 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