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5

다리길이 차이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다리길이의 불일치가 생길경우 척추의 만곡으로 보상작용이 진행된다. 사람은 지구의 중력 때문에 땅위에서 평형중추에 의해 두 다리로 기립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척추의 생리적인 만곡도(커브)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척추가 생리적인 커브를 유지하게 되면 척추사이에서 빠져나와 각기 내부장기에 분포하고 있는 중추신경들이 제대로의 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게 되어서 이들 신경이 지배하게 되는 내장기능은 고도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게 만드는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역학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역학적 장애인 견비통, 두통, 요통, 신경통, 기타 질병 등은 없으며 중력에 대한 척추의 생리적인 커브는 서있을 때 최소한의 칼로리로 유지되므로 (척추의 생리적인 커브가 비정상이면 칼로리 소모량이 크기 때문에 쉽게 피로..

이론 2015.02.11

O다리,X다리,H형다리

O다리,X다리,H형다리 H형 다리 (곧은 다리) O형 다리 X형 다리 양 다리를 나란히 뻗었을 때 복사뼈와 무릎이 자연스럽게 붙거나, 무릎 사이가 5mm 이하로 벌어지면 H 형 양 다리를 나란히 뻗었을 때 복사뼈는 붙고 무릎은 붙지 않거나, 무릎 사이가 10mm 이상 벌어지면 O 형 양 다리를 나란히 뻗었을 때 무릎은 붙고 복사뼈는 붙지 않으면 X 형 H형 다리는 두 다리 길이가 불균형이 아닐 경우는 다리와 골반과의 연결관절인 고관절 각도가 좋은 각도라 볼 수 있다. H형 다리는 O다리, X 형 다리에 비해 두 다리 길이가 불균형이 되는 비율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O형 다리는 고관절이 외전 외선 되어있는 상태(고관절 각도 중심이 약간 몸 앞쪽으로 틀어진 상태) X형 다리는 고관절의 각도가 내전, 내선 ..

이론 2015.02.11

고관절의 각도

고관절의 각도 고관절은 상지와 하지가 연결되 있는 기관으로써 우리 몸에 중심부에 기관중 하나다. 고관절의 구조는 관절구조 중 가장 무거운 부하를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고관절에는 감각신경이 없으므로 통증을 느끼는 일이 없으며 그 각도가 변화하였다 하더라도 그것을 손쉽게 알아차릴 수 없다 고관절이 비틀어지고 벌어지고 휘어지게 되는 불균형 증상이 나타나면 단순히 고관절 부위만의 이상 증상을 유발 시키는 것이 아니다. 몸의 어느 한 부분이 불균형하게 되면 그 부분만 균형이 깨지는 것이 아니라 몸 전체의 불균형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 좌우 다리의 각도의 불균형이 생기면 다리의 바깥 쪽으로 비틀어진 쪽 벌림이 큰쪽의 다리가 길어진다. 이것을 현대의학에서는 다리의 가성연장이라고 하는데, 고관절에서 대..

이론 2015.02.10

인체의 역학

척주의 바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체의 저항력을 충분히 활동시킴으로써 건강을 보호 유지하는 방법이 역학요법 이다. 역학 이란 말은 사전에는 (물체간 작동하는 힘과 그로 인하여 생기는 운동에 대하여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 라고 설명하고 있다. 물리학적 견지에서 볼 때 인체는 복잡한 구조물로서 여러 가지 복잡한 움직임을 한다. 운동을 하고 있을 때에는 당연히 어떠한 힘의 몸의 안팎에 작용을 하고 있다. 몸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도 지구의 인력은 변함없이 몸에 작용하고 있다. 이것이 몸의 중량 즉 체중으로 계량되는 것이다. 사람이 서서 있을 때 전 체중은 두 개의 다리를 계속적으로 눌러 몸을 떠받치고 있기 때문에 양 다리는 체중과 같은 힘을 내고 있다. 체중을 떠받치기 위하여 내고 있는 힘에 대하여 우리들이 무..

이론 2015.02.10

역학요법 이란?

이소가이식 역학요법은 물리요법의 한 종류의 약제나 기계를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사용하는 것은 시술자의 손기술과 벨트,방석과 베게 등의 간단한 도구 뿐입니다. 역학요법에는 정역학과 동역학이 있지만 이소가이식 역학요법은 두 역학의 사고를 응용한 것입니다. ​ · 1) 정역학 · 작용하는 힘들 사이의 관계가 평형을 이룬 상태(ΣF=0, ΣMo=0)를 분석 대상으로 하는 학문 분야이다. 정지해있는 상태에서 작용하는 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학문 분야이기 때문에 아무런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도 여러 가지 힘들이 균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때문에 균형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작용하는 힘들을 분석하기도 하고,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필요한 힘에 대해서 연구하기도 하..

이론 201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