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요법

백근 선생님과 만만 선생님

@환골탈태@ 2015. 2. 10. 15:02

운동법에서 소개해드릴 내용은

 

이소가이 요법의 정사범이신 백근 신용선 선생님과 한국 바른몸운동 연구회의 만만 이남진 선생님의 이론을 바탕으로,

 

자세교정교정운동, 생활습관 개선 등을 통해 틀어진 몸을 스스로 바로 잡는 방법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저의 스승님 이신 백근 신용선 선생님과, 만만 이남진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백근 신용선 선생님 

 

남양주시 물맑고 공기좋은 곳으로 소문난 수동면에 정체선원이 있습니다.

 

 

 정체선원이란 "바른 몸으로 신선처럼 살자"라는 뜻입니다.. 
 
선생님은 건축학을 전공했으나 전공과는 무관하게 84년 단전호흡을 시작으로 86년 교선선생(우악도인)을 만나 대체의학에 입문

했습니다.
 
조용한 마을에 자리 잡은 백근 선생님 대처의학연구에 여염이 없으십니다.

교선 선생의 기통법( 통하게 하는것)을 배웠고,  독일식 카이로프랙틱을 전공하였고 이소가이(골반, 고관절 교정운동요법)을 배워

자격을 획득했으며, 한국의 전래운동인 정체요법 등을 하고 계십니다

 백근 선생님과 일본 이소가이 역학요법 원장

 

 

만만 이남진 선생님

 

 

 

현재 한국정체운동연구회(韓國正體運動硏究會)와 한국정체학회(韓國正  學會)의 연구 과제이자 한국정체운동수련원(韓國正體運動修鍊院)에서 보급하고 있는 정체운동의 기초가 되는 기본적인 동작들은 1977년 전라남도의 작은 절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깊은 산골인지라 밤이면 항상 촛불 밑에 삐딱하게 앉아있던 자세가 문제였던지, 허리는 물론 온몸이 아파 힘들어 했을 때 고령의 스님께서 알려주셨던 운동들이 근본이 되어 지금의 정체운동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이때 배운 몸 상태에 맞춘 몇 가지 운동들은 신기하게도 금방 통증들을 사라지게 했으며, 자율적인 이 운동만으로도 통증의 재발이 없음은 물론, 건강에는 걱정 없이 살아오게 되었습니다.

스님께선 건강을 위한다면 꾸준히, 그리고 매일 잊지 말고 조금씩 이라도 하라는 말씀을 자주 하셨지만, 일단 아팠던 몸이 편해지고 또 절을 떠나 생활하다 보니 등한시하게 된 것은 모든 사람들의 공통적인 과정일 것입니다.

그러다 예기치 못한 교통사고로 인해 수 개월 동안 병원에 누워 있게 되자,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기억을 더듬어 다시 자세를 갖추고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원인을 알 수 없다던 통증이 운동만으로 사라지게 되자 스님이 알려주셨던 운동의 효과에 새삼 놀라웠고, 그 원리가 무엇인지 궁금하여 알아보고 싶었지만, 이미 20년이란 긴 세월이 흘러버린지라 혼자만의 체험을 근거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매우 힘들고 어려운 과제였습니다.

전래운동에 관한 문헌을 찾아 전국을 헤맸지만, 스님께서 가르쳐 주셨던 운동과 유사한 동작들만 전통무예 등에 일부 흔적으로 남아 있을 뿐, 기대했던 결과는 얻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나마 전통무예 등은 많은 관심과 보호 속에 꾸준히 전수되어 발전되고 있었으나전래전통요법이나 치유를 위한 운동들의 경우대부분 불법의료행위로 분류되어 규제 받고 있는 현실이었기 때문에, 더욱 찾기가 어려웠는지도 모릅니다.

설령 일부가 전수되어 왔다 할지라도 과학적 방식이 아니라, 난해하고 신비적이면서도 폐쇄적인 방법에 의해 전수되어 쉽게 접근하기 조차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노력에 대한 댓가로 전래전통요법(傳來傳統療法) 50여년 동안 연구해 오시면서 일본의 이소가이 기미요시 선생에께 직접 이소가이식 역학요법(力學療法)을 배워오신 김국휴 선생님과 지금은 타계하신 서금석 선생님, 그리고 소신것 도움을 주셨던 몇 분의 인연들을 만나게 된 것은 큰 행운이었습니다.

특히 이소가이 요법을 참고하여 한국의 전통민속요법을 꾸준히 연구해 오신 김국휴 선생님을 만나게 된 것은, 그 동안의 의문들이 풀리면서 스님께 전수 받은 운동의 기초적인 이론을 정리할 수 있는 확실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여러 서적들을 탐독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정체운동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던 증상들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물론, 균형 있고 바른 신체 상태로 변해가는 것을 지켜보며, 비과학적인 운동에 불과하다고 외면당했던 우리의 전래민속운동만으로도 기대하는 결과가 이루어 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후 스님으로부터 배웠던 기본적인 전래운동에 김국휴 선생님을 통해 배우게 된 이소가이 역학요법(ISOGAY DYNAMIC THERAPY)의 일부 동작들과, 여러 선생님들의 가르침과 경험, 그리고 연구를 통해 정리된 동작들을 접목시켜 정체운동(
正體運動)이란 이름으로 체계화하는 노력을 다한 결과 현재에 이르렀습니다.


그러므로 정체운동은 여타 다른 요법이나 운동들에서 접할 수 있는 비슷한 동작들이 있을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할 수 있는 기준은 현재의 체형에 맞춰 하는 맞춤 운동이라는 것 입니다.

즉 가장 중요한 핵심은 “현재 자신에게 나타나 있는 불균형상태를 정확히 알고, 그 결과가 어떤 원인과 과정에 의해 나타나게 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자세와 동작들을 통해 변형된 몸을 바르게 개선시킬 것인가”를 먼저 이해하고 알아야 된다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 자신의 몸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변형이 발생하게 된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일단
그 원인을 정확히 찾아 현재의 결과에 대한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그 결과에 맞춰 시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몸을 바르게 개선시켜 현재 나타나 있는 여러 가지 질병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물론, 앞으로 발생할지도 모를 이상과 질병을 예방한다는 정체운동(正體運動)이 추구하고 목적하는 바를 스스로 이루게 되는 것입니다.

*
고관절의 변위와 질병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학문적인 체계를 정리하여 발표하신 분으로는 일본의 이소가이 기미요시 선생을 손꼽을 수 있으나, 1977년 당시 70세 중반을 넘기신 한국의 전형적인 고령의 스님이 선생의 이론과 요법을 알고 계셨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즉 좌병우치 우병좌치(
左病右治 右病左治 - 왼쪽에 병이 들면 오른쪽을 근본으로 보고 치료하고 반대로 오른쪽에 병이 들면 왼쪽을 근본으로 치료한다는 뜻)의 개념에서부터 시작된 전래전통운동으로 판단됩니다..

관련서적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역학요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리길이 차이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1) 2015.06.08
이소가이 기미요시 선생님  (0) 201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