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골 신경이란? |
우리가 의자에 앉을 때 엉덩이가 닿는 부위가 궁둥뼈라고 하는 좌골인데, 그 뼈 사이의 구멍을 통해 나오는 신경이 바로 좌골신경이다.
요추 4.5번과 천추 1번 신경에서 나오는 신경다발이 뭉쳐 생기며, 인체에서 가장 크고 긴 신경으로 허리 뼈에서 시작해 엉덩이와 넓적다리 뒤를 거쳐 양쪽 발끝까지 연결된다.
좌골 신경통증과 증상 |
|
|
좌골신경통은 병명이 아닌 다리 쪽의 통증을 일컫는 일종의 증상이다.
허리 척수 신경의 압축에 의해 발생하는 통증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며
좌골신경에 발생한 압박, 손상, 염증 등으로 인해 좌골신경에 관련된 부위를 따라 나타난다.
이 좌골 신경이 다리를 타고 내려가기 때문에 이 신경에 어떤 문제가 생기게 되면 엉덩이에서부터 허벅지, 종아리, 발에
이르기까지 통증과 감각이상을 동반하고 심한 경우 기능 이상이 같이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여러 신경통 가운데서 가장
흔하기도 하지만, 잘못하면 디스크로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다.
좌골신경통 원인 |
추간판 탈출증 |
.
이상근 증후근 |
퇴행성 디스크 |
전방전위증 |
좌골신경통의 원인으로는 추간판 탈출증, 퇴행성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이상 근 증후군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상근 증후군은 엉덩이 근육의 일종인 이상근이 과도하게 긴장하면, 근육 아래 위치한 좌골신경을 직접 압박해 통증을 유발한다.
이상근 증후군과 허리디스크 증상과 다소 비슷해 진단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오랫동안 불안정한 자세가 지속되면 허리와 엉덩이를 지탱해주는 근육이나 관절이 약해지거나 염증이 생겨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만약 허리디스크 탈출로 인안 좌골신경통일 경우- 허리를 숙일 때나 좌우로 틀 때 통증이 더 심하게 나타나고, 허리 신경을 따라 바깥쪽으로
통증이 나타난다.
척수(척추 내에 위치하는 중추신경의 일부분)는 뇌로부터 시작되어 허리와 다리까지 내려가는데 척추에 문제 발생 시 하지 쪽이 저리면서 통증이 발생한다. 척추에는 통증이 없으면서 하지 쪽으로 만 통증이 오기 때문에 좌골 신경통만 문제가 아니라 이미 그 이전 척추 쪽의 추간판 탈출에 의해서도 문제가 생기게 된다
척추관 협착증으로 인한 좌골신경통일 경우 오랫동안 걷지 못하고 걷다 쉬기를 반복한다.
다리를 꼬고 앉거나, 오래 앉을 때, 또는 계단을 오를 때 좌골신경통이 심하다면 엉덩이 근육의 이상이나 골반의 이상을 생각해볼 수 있다.
좌골신경통이 생기는 나쁜 자세 |
좌골신경통은 좌골신경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압박을 받아 염증을 일으켜 발생하는 것이다.
좌골신경통의 원인은 인체의 혈액순환 문제, 골격의 틀어짐 때문에 나타나지만 그 이전에 근본적인 원인은 불안정한 자세다.
다음과 같은 자세들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주로 하는 자세지만 장시간 앉아있는 것은 좌골 통증을 발생 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쪽으로 다리를 내고 있는 자세 1 |
한쪽으로 다리를 내고 있는 자세 2 |
짝다리 |
엎드려 자기 |
다리 꼬고 앉는 자세 |
의자에 엉덩이 끝만 걸치고 등이 후만이 되는 자세 |
TIP 좌골신경통에 효과적인 운동 |
좌골 신경통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근본적인 원인을 찾지 못하면 디스크던 좌골신경통이던 완전히 증상을 해결하지 못 합니다. 마사지나 교정 등이 효과가 좋긴 하지만 완전한 치유가 되기는 힘듭니다. 중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생활하는 인간은 서서 움직이게 되면 다시 틀어진 상태가 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허리가 아프면 척추의 디스크의 이상만을 지적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허리 쪽의 문제만 해결하면 그 당시에는 편해질지 모르나 다리길이 차이에 의해 골반이 틀어져 있으면 척추는 또다시 틀어지면서 디크와 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우리의 몸은 골반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골반의 불균형은 척추를 전, 후, 측만으로 틀어지게 하는 원인이 됩니다. 이렇게 되면 서있거나 앉아있을 때 틀어진 척추의 무게가 역으로 하지에 실리면서 엉치에 통증이 나타나기도 하고 다리에는 순환장애로 인해 마비나 감각이상 등이 생깁니다. 이와 같이 좌골신경통은 다리 길이 차이와 골반의 정상적인 균형을 맞춰주고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만 자연적으로 치유가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원리를 모르고 내버려 두면 평생 통증으로 고통을 받게 됩니다.
|
이소가이 역학 요법에서 보면 허리 통증과 좌골신경통도 운동으로 개선이 가능합니다. 먼저 다리 길이 차이를 알아야 하면 체형에 따른 간단한 운동만으로도 통증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운동이 새우 운동과 굴신 운동입니다.
새우운동은 고관절의 이상, 골반의 위치, 척추의 만곡도와 비틀림을 교정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뭉친 근육을 풀어주며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합니다. (장요근, 대요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또한 골반과 고관절, 요추 부분의 틀어짐을 바로잡아 줍니다. |
굴신운동은 고관절과 골반의 정상적인 위치를 잡아줍니다. 또한 척추의 만곡도를 회복시켜주며, 다리 길이 차이를 교정하고, 무릎관절, 발목관절 등 전신의 근육을 정상으로 발육시킬 수 있습니다.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원인과 증상, 질병 (0) | 2016.02.28 |
---|---|
나는 몸신이다 팡팡 지압법 성장 호르몬 지압법 (0) | 2015.10.07 |
나는 몸신이다 오다리 교정법 굴신운동 (0) | 2015.04.12 |
바르게 걷는 방법 - 황금알 (0) | 2015.04.07 |
황금알 - 몸은 답을 알고 있다. 바른체형관련 (0) | 2015.03.31 |